어떤 신약성경 명령들은 구약성경의 명령과 유사하다. 하지만 다른 것이다. 10계명 중 아홉 계명은 신약성경에서 반복되었습니다. 명령들 대부분은 신약성경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하나님은 한 분 뿐이다.- 고전 8:4, 행 14:15 2. 우상을 조각하지 말라.- 갈 5:19~21, 롬 1:22~23, 요일 5:21 3. 하나님의 이름을 헛되이 부르지 말라.- 약 5:12 4. 안식일을 기억하라.- 이 명령은 1.. 컨퍼런스/교회II 2014.12.20
오늘날 우리는 신약성경 명령에 순종해야 한다. 예수께서 구약언약을 폐지하셨을 뿐만 아니라 그분은 새 언약으로 옛 언약을 대체하셨다. 이제 옛 언약이 필요하지 않는 이유는 다른 법이 그것을 대신한다는 것입니다. 예수께서 두 번째 것을 세우시기 위해서 첫 번째 뜻을 없애셨습니다(히 10:9~10). 두 번째 것은 시내산에서 이스라엘과.. 컨퍼런스/교회II 2014.12.18
#6. 영감을 받지 않은 역사에서 나오는 증거 (2) B. 한 주의 첫날과 역사 비록 우리가 영감으로 되지 않은 역사가 오늘날 우리의 실행을 알리는데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것을 단호히 부인한다 할지라도 이것은 한 주의 첫날에 예배의 실행이 역사의 손에 의해 고통에 시달린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한 주간의 첫날에 .. 컨퍼런스/교회II 2014.12.17
#6. 영감을 받지 않은 역사에서 나오는 증거 어떤 사람들은 영감을 받지 않은 역사가 예수의 죽으심 후에도 그리스도인들이 안식일을 지켰다는 것을 입증하기 때문에 우리가 오늘날에도 안식일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들은 역사 속에서 카톨릭교회가 일곱 번째 날에서 한 주간의 첫째 날로 변질시켰다고 말합니다. A. 영감.. 컨퍼런스/교회II 2014.12.15
5-7 자유의 법(약 2:12) 어떤 사람들은 “자유의 법”이 우리를 심판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왜냐면 야고보서 2:11절에서 십계명 중 두 계명을 인용하기 때문에 율법이 계속 지켜야 한다는 것입니다. 또 야고보서 2:8절은 레위기 19:18절을 인용합니다. 이 율법 또한 자유의 법의 일부입니까? 그렇다면 모든 구약율.. 컨퍼런스/교회II 2014.12.13
5-6. 유언자의 뜻은 그가 죽기 전에 말해져야 한다(히 9:16~17). 어떤 사람들은 사람이 뜻에 대한 유지(遺志)들은 유언자가 죽기 전에 알려져야 한다고 논쟁합니다. 하지만 예수께서 죽으시기 전 그 주(週) 첫날 특별히 중요한 것에 애착을 느끼지 않으셨습니다. 그래서 그것은 첫날이 신약성경에서 어떤 중요한 것을 가지고 있다고 결론내릴 수 없습니.. 컨퍼런스/교회II 2014.12.11
5-5. 하나님의 사람들에게 남아있다는 안식(히 4:9). 히브리서 4:4, 10절에 일곱 번째 날과 하나님의 안식이 언급됩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을 위해 남아 있는 그 안식이 일곱 번째 날 안식일이라고 논쟁을 벌입니다. 히브리서 4장 어디에도 특별한 날에 휴식하라고 사람들을 가르치지 않습니다. 하나님의 사람들이 언제 휴식을 할 것인지, 얼마.. 컨퍼런스/교회II 2014.12.11
5-4. 바울이 헛되게 만들지 않고, 율법을 굳게 건축했다는 주장(롬 3:31) 어떤 사람들은 구약율법이 오늘날 율법으로서 여전히 지켜지고 있으며, 유효하다는 것을 입증한다고 이 구절을 인용합니다. 하지만 바울은 로마서 7:1~7절과 다른 구절에서 율법이 폐지되었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로마서 7:1~7절은 우리가 율법에 대해 죽었고, 첫 남편이 죽은 여인과 .. 컨퍼런스/교회II 2014.12.10
5-3 안식일은 사람을 위해 세워졌다는 의미(막 2:27)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께서 인류를 의미하는 사람들을 위해 세우셨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모든 시대 사람들이 안식일을 지켜야 한다고 말합니다. 어떤 구절도 하나님께서 모든 인류에게 안식일을 주시거나 안식일 지킬 것을 요구하셨다는 말씀은 없습니다. 이 구절은 .. 컨퍼런스/교회II 2014.12.09
5-2 안식일의 주(主)와 주님의 안식일 관련성경을 읽읍시다. 마태복음 12:8, 누가복음 6:5, 마가복음 2:28, 출애굽기 20:10, 레위기 23:38, 이사야 58:13절입니다. 어떤 구절들은 주(主)의 안식일로 안식일을 말합니다. 예수님은 자신이 안식일의 주이었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표현이 안식일이 유효하다는 .. 컨퍼런스/교회II 2014.1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