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줍기(2) 이 모든 것은 믿음의 경주 가운데 있는 그리스도인의 그림이다. 그들은 보아스로 상징되는 그리스도의 밭에서 이삭을 줍고 있다. 밭은 세상을 상징하여 성경에서 사용되었다(마 13:38, 창 37:15). 밭에서 이삭 줍는 것은 세상에 있는 동안 열매를 산출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 이삭을 줍는 기간..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5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줍기(1) 나오미와 룻이 베들레헴에 도착한 후 두 가지에 집중된다. 1) 그들은 보리 추수가 시작할 때 돌아왔다. 2) 나오미는 죽은 남편의 친척이 있었다. 그 친척 보아스의 밭에서 룻은 이삭을 주을 수 있었다. 룻은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을 주어야 함을 스스로 알았다(룻 1:22-2:3). 부자였던 보아스..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4
가족관계(5) 그런데 예표 속으로 돌아가서 룻과 오르바 사이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둘은 한 가족의 식구가 되었고, 빵집인 베들레헴으로 여행하는 중이었다. 룻은 여행을 끝까지 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오르바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오늘날 한편으로는 그리스도인들이 되어야 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3
가족관계(4) 오늘날 이방인(유대인)들을 위한 구원은 신성한 능력과 하나님께서 유대인들을 통해서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성경의 구절들이 있다. “구원은 주께 속하나이다”(욘 2:9b) “이는 구원이 유대인에게서 나기 때문이라.”(요 4:22b). 두 구절 다 참된 것이어야 한다. 구원은 구..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2
가족관계(3)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성령께서 하나님의 아들을 위해 신부를 얻으시는 동안인 오늘날 따로 떼어 놓으셨다. 그리고 룻처럼 이 이방 신부는 유대인 관계를 소유해야 했다. 유대인에 속하지 않고서는 떡집인 베들레헴으로 여행할 수 없다. 4천 년 전 하나님은 다른 인종에게 축복이 된 한 사..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1
가족관계(2) 그러므로 그 가족관계는 이 룻기의 맨 처음에 세워졌다. 그리고 나머지 부분에서 이 관계에 대한 상세한 것을 말한다. 이 룻기의 첫 장에서는 세 부분의 가족관계를 제시한다. 1) 가족의 일부가 되는 룻과 오르바는 이방인들 중에서 택했다. 2) 룻과 오르바는 이방인의 가족의 구성원이 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2.30
가족관계(1) 룻기는 유대 땅의 기근 때문에 베들레헴을 떠나 모압 땅에 거주하려고 엘리멜렉, 나오미 그리고 그들의 두 아들 말론과 기룐이라는 한 유대 가족으로 시작한다. 그 가족은 얼마간 모압에서 거주했고, 그 가족의 가장 엘리멜렉이 죽었다. 이제 어머니 나오미와 그녀의 두 아들 말론과 기룐..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2.29
그리스도와 교회 서론 그리스도께서 집으로 다시 들어가신 후(마 13:36) 주신 마태복음 13:44-46절의 다섯 번째와 여섯 번째 비유를 이해하는 중요하고, 필요한 열쇠는 성경에 있는 예표와 실제 속에서 일어나는 결혼을 이해하는데서 볼 수 있다. 보아스와 룻, 아하수에로와 에스더에게 일어났던 것처럼, 그리스도..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2.27
성령의 오늘날 사역(3) 하나님께서 이와 같은 일을 수행하도록 세상으로 성령을 보내신 이유는 사람이 하나님께서 세우신 남편-아내관계를 둘러싼 일을 마음에 담아둔다면 알고, 이해하기 쉽다. 하나님께서 다스리려면 그 아들은 아내를 가지셔야 한다. 마찬가지로 아들의 통치를 기대하는 그리스도인들은 남..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2.24
성령의 오늘날 사역(2) 오늘날 제도에서의 성령의 사역은 1,500년 전 창세기 24장에서 볼 수 있다. 이 장에서 아브라함은 자신의 아들의 신부를 얻기 위해 자신의 종을 먼 나라로 보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자신의 아들의 신부를 얻기 위해 세상으로 성령을 보내시는 것을 예표한다. 이 일은 아브라함이 자신의 아..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