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과 이스라엘 서론(2) 하나님의 모양과 형상으로 창조하신 남자는 땅을 다스리도록 창조되었다. 하지만 남자는 혼자서 다스릴 수 없었다. 남자의 일부에서 건축된 여자는 남자와 함께 왕비로서 다스려야 했다. 여자는 남자의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 되었다. 남자는 여자 없이 완전한 존재로서 다스릴 수 없..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2.02
하나님과 이스라엘 서론(1) 룻기와 에스더는 같은 책이다. 이 두 책에는 왕권에 관련되어 있는 결혼관계, 상속된 사건들이 나타나 있다. 룻기는 그리스도와 함께하는 왕비로서 아내를 소유하는 아들로 끝나는 그리스도와 교회의 역사가 나타나 있다. 에스더는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역사가 나타나 있다. 에스더는 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31
상속에 대한 구속 룻기 4장에서 볼 수 있는 구속은 연대순으로 1-3장에서 묘사된 모든 사건들이 일어난 후 발생했다. 구속은 타작마당에서의 사건 이후 일어난 일과 관계가 있고, 이 일은 두 가지 일과 관계가 있다. 1.엘리멜렉의 죽음 이후 나오미에게와 엘리멜렉의 가족에게 속한 박탈된 상속에 대한 보아..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30
타작마당에서(2) 룻이 자신을 물로 씻고, 기름을 바르고, 의복을 입었을 뿐만 아니라 보아스가 오기 전에 밭에서 이삭을 주워 타작마당에 갔다. 보아스 밭에서 이삭을 주워 타작마당으로 간 그녀는 알곡을 가졌고, 이미 이삭을 타작했기 때문에 보아스가 더 이상 그 일을 하지 않았을 것이다. 가치가 없는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30
타작마당에서(1) 타작마당은 알곡이 모아지고 겉껍질을 분리해 내는 곳이었다. 이곳은 쓸모없었던 것에서 분리된 가치가 있는 곳이었다. 침례자 요한은 타작마당을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그리스도의 심판과 연결시켰다(마 3:12). 타작마당은 바울이 고린도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했던 겉..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26
옷을 입으라.(3) 준비 필요성과 관련이 있는 분명한 지시가 주어졌고, 지시가 무시된다면 일어날 것과 관련이 있는 분명한 경고가 뚜렷하다. 어느 날 방식에 따라 준비되지 않은 어떤 이들은 그리스도의 임재 가운데서 있음을 스스로 알게 될 것이다. 또 이 계시와 경고를 무시하는 이들이 있을 것이다. 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25
옷을 입으라.(2) 요한계시록 19:7-8절에 따르면 이 옷은 성도의 의로움, 의로운 행위로 만들어졌다. 이 옷은 그리스도인들이 밭에서 이삭을 줍고, 알곡을 타작함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점진적으로 자신들을 위해 엮어 짜는 것이다. 합당한 방식으로 이 일을 하는 것, 점차적으로 엮어 짠 혼인 예복을 입고, 여..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24
옷을 입으라.(1) 룻은 신랑을 만나러 가고 있었다. 그처럼 그리스도인들도 실제에서 그와 같다. 신랑을 만나러 가는 각 그리스도인들은 물로 씻고, 기름 바름을 통해 합당하게 준비되었어야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의복을 입어야 한다. 본문과 다른 성경이 이 문제에 관해 말하고 있기 때문에 룻에게 하는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23
기름을 바름 기름은 구약성경에서 선지자, 제사장, 왕을 기름 붓는데 사용되었다. 그들이 이 방식을 따라 기름 사용과 구별된 일을 하도록 그들에게 강화하기 위해 성령께서 오시는 것과 관계가 있었다. 사울과 다윗의 기름부음은 이와 같은 두 예다(삼상 10:1, 6, 16:13). 성령은 기름부음 받음에 따라 각..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22
그를 만날 그녀의 준비-자신을 씻음(3) 그런데 구약성경 예표에서 볼 수 있는 더러움은 밭에서 자신의 일을 수행하는 그리스도인의 과정에서 일어난다. 이 더러움은 몸의 일부를 반복적으로 깨끗해짐이 필요하다. 이 더러움을 씻는 것은 현재와 미래의 혼의 구원과 관계있다. 그리고 그 씻음은 오늘날 그리스도의 대제사장적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