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책(3) 룻기는 요한계시록에서 볼 수 있는 똑같은 방식으로 교회와 구속된 상속을 다룬다. 또 요한계시록에서 볼 수 있는 7년 환란과 그 후의 이스라엘을 중심적으로 다룬다. 룻기, 에스더서 그리고 요한계시록을 살펴보는 것만으로 마태복음 13:44절의 보물비유에서 밭을 사는 것을 합당하게 이..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4.13
세책(2) 예를 들어 출애굽기는 구약성경의 재앙(종말)로 간주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예표-실제의 골격이 되어 있는 출애굽기는 요한계시록 1-20장과 같은 기간과 정확히 같은 내용으로 짜여 있다. 두 책은 현 제도의 시작과 메시아 왕국의 끝 기간을 다루고 있다. 두 책은 같지만 다른 시각을 다룬..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4.12
세책(1) 요한계시록과 다니엘서는 성경에서 같은 책으로 간주되었다. 하나의 책이 다른 책을 설명해 주고, 조명해 주는 책이라는 말이다. 이 두 책 사이의 이런 관계는 옳다. 다니엘서와 요한계시록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책이다. 다니엘서가 요한계시록을 설명하는 것을 돕고, 요한계시록이 다니..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4.11
보물과 밭(4) 이 비유에서 밭을 구매하는 것에 대해 성경으로 성경을 비교하는 것은 분명해진다. 오늘날 이 땅은 다가오고 있는 시대에 그리스도와 그분의 아내에 의해 소유된 상속을 이룬다(시 2:6-9, 롬 8:17-23, 계 2:26-27, 3:21). 그리고 이 밭(상속)은 하늘에서부터 땅에 이르기까지 통치가 시작되는 아들..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4.08
보물과 밭(2) 마태복음 13장에 있는 연결된 일곱 비유에 계시된 연속에서의 밭은 구체적으로 세상에 대해 말을 한다(마 13:38). 그리고 다른 성경을 비교하면 보물은 이스라엘이라고 밝혀질 수 있다(출 19:5-6, 시 135:4). 그리스도의 초림 때 그분은 하늘왕국에 이스라엘민족이 포함되도록 사람들에게 제안..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3.26
보물과 밭(1) 그리스도께서 집으로 다시 들어오신 후에 주신 첫 번째 비유는 한 사람(그리스도)이 찾아 밭에 숨겨둔 보물과 같다. 이를 따르면 한 사람(그리스도)이 나가서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팔았다. 그리고 그리스도는 보물이 숨겨진 곳을 사셨다. 이 비유는 미래의 사건을 다루기 위한 기본적인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3.22
보물비유서론(4) 이 비유에서 다룬 것이 먼저 땅에 있는 이스라엘과 관계가 있고, 하나님의 백성과의 언약, 민족적 다루심에 대한 하나님의 재개에서 야기된 것일 수 없지만 이 비유들은 하늘에 속할 교회와는 불과분의 관계가 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이 마지막 세 비유는 왕국말씀과 관계된 연속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3.20
보물비유서론(3) 이런 방면에서 첫 번째 네 비유는 현 모든 제도를 통한 개인적인 것을 다룬다. 다섯 번째 비유에서 일곱 번째 비유로 옮겨가며 다루는 것은 현제도를 지난 사건과 관계가 있다. 이 마지막 세 비유는 교회가 땅에서부터 옮겨진 후 즉 휴거 후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을 다시 다루신 후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3.17
보물비유서론(2) 그리스도께서 그분의 땅에서의 사역하셨을 때에 같은 상황에 대한 묘사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아들이 올 때에 땅에서 믿음을 보겠느냐?”(눅 18:8b) 이 질문방식은 헬라원문에서 부정적 반응을 지적된 말이다. 사람의 아들 곧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그 때에 땅의 교회들에..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3.15
보물비유서론(1) “또 하늘의 왕국은 마치 밭에 숨겨진 보물과 같으니라. 사람이 그것을 발견하면 숨겨 두고 그것의 기쁨으로 인해 가서 자기의 모든 소유를 팔아 그 밭을 사느니라.”(마 13:44). 마태복음 13장의 마지막 세 비유는 처음 네 비유와 같지 않다. 이 세 비유는 그리스도께서 집으로 다시 돌아오..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