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가까운 친척 룻기에서 일어난 그 사건 당시 유대인 가정관리에 법률적인 다른 문제는 그 땅에 흩어진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들어가는 길, 여러 도시의 문에서 다뤄졌다. 각 도시의 장로들은 그 도시의 문에 모여 있으면서 법률적인 문제를 따지고, 풀려고 하는 이들이 그 도시에 들어오려는 것을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11
예표와 실제(2) 갈보리에서의 그리스도의 마지막 사역 자체가 룻기 4장에는 다뤄지지 않았다. 이 사역은 단순하게 당연시 하거나 추론된 것이다. 갈보리에서의 그리스도 마지막 사역을 둘러싸고 있는 이 문제는 룻과 오르바가 죽음을 통해 가족의 일원이 되는 것을 알았던 1장에서 다뤄졌다. 그들 남편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9
예표와 실제(1) 룻기 4장에서는 보아스의 구속적 행위를 볼 수 있다. 이 보아스의 구속적 행위는 문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구속행위는 룻이 가족의 일원이 되고(룻 1),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을 줍고, 추수 때 내내 이삭을 주워 녹초가 되고(룻 2), 한 밤중에 보아스를 만나기 위해 그녀 자신을 준비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9
진주비유(6) 요한계시록에 따라 이 두 비유는 룻기 4장에 등장한 예표, 구약성경에 있는 예표의 어떤 것을 다룬다. 룻기 4장에서 보아스는 몰수된 상속을 구속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몰수된 상속을 구속하는 것은 룻이 보아스의 구속적 행위로 그의 아내가 되는 것이다. 이 장은 사건이 완료되는 이야기..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7
진주비유(5) 이 두 비유 중 첫 번째 비유 마태복음 13:45절에서 보물은 이스라엘을 가리킨다. 이스라엘은 하나님의 특별한 보물이다(출 19:5-6, 시 135:4). 그런데 이 두 번째 비유 마태복음 13:45-46절은 교회가 나온다. 보물은 바다에서 나는 굴(조개)에서 찾는다. 지느러미와 비늘이 없는 굴은 정통파 유대교..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6
진주비유(4) 그런데 이미 기록된 것처럼 밭과 진주 구매는 마태복음 13:44-46절에 있는 보물과 진주의 비유에서 볼 수 있다. 이 두 구매는 갈보리에서의 그리스도의 사역을 넘어 아들의 사역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하늘에 속한 안식처에서의 그분 사역은 사람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가 없을 수 있다. 왜냐..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5
진주비유(3) 필연적으로 사람의 영원한 구원에 속하기는 하지만 신성 안에서 이루신 오늘날 사역이다. 하지만 이 사역은 어떤 유행, 인기에 따라 아들에 의해 이루신 사역이 아니다. 이것은 성령에 의해 수행하신 사역이다. 그 영은 오늘날 아들의 과거의 마지막 사역을 바탕으로 생명이 없는 이들 안..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4
진주비유(2) 그리스도의 갈보리에서의 마지막 사역은 사람의 영원한 구원과 관계가 있다. 갈보리의 마지막 사역에는 그리스도의 현재와 미래의 사역은 없다. 모든 것은 과거다. 그리스도의 마지막 사역 이후에 그분은 하나님의 오른편에 앉으셨다. 땅에 속한 장막에는 앉으실 보좌(의자)가 없었다. 왜..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3
진주비유(1) 진주비유는 이미 전달된 보물의 비유에서 계속되는 구속에 대한 생각이다. 보물비유에서의 사람과 진주비유에서의 상인은 예수 그리스도시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소유 모두를 판다는 것은 그리스도의 과거, 즉 갈보리에서의 마치신 사역을 가리킨다. 각 비유에서 다른 것을 구매했다.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2
구매한 소유에 대한 구속 상속과 관련이 있는 실제적 구속사역은 요한계시록 6장의 사건으로 시작하여 19장 끝의 사건으로 전개된다. 19장에 있는 사건 또한 이 구속사역의 다른 방면과 관계가 있다. 그 사건들은 그리스도의 아내가 되는 신부와 관계가 있다(계 19:7-9). 이 사건은 교회가 상속구속을 둘러싸고 있는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