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세기부터 마태복음과 요한계시록까지(1) 마태복음 13장을 연구할 때 여러 일들이 마음 안에 유지되어야 한다. 처음 네 비유는 집 밖 바닷가에서 주어졌고, 나중 세 비유는 그리스도께서 집 안으로 다시 들어오신 후 주어졌다. 이 사실을 종종 간과해 버렸다. 이 사실을 그리스도인들이 합당하게 이해한다면 아주 중요한 것이다.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7.05
왕국말씀에 대한 이해는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방향임 그리스도 안에서 움직이는 새 창조와 관련된 모든 목표는 창세기 2장 첫 부부분에 정해진 목표와 똑같다. 모든 것이 움직이는 목표는 회복의 6일(창 1:2b-25) 이후 창세기 2:1-3절에서 안식일로 전조된 다가오는 땅의 안식일이다. 한 새사람의 존재, 오늘날 제도 때문으로 여기든, 하나님의 그..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7.04
왕국말씀에 대한 이해는 그리스도인의 생활의 목적임 신약성경에 있는 왕국말씀에 대한 전체적인 그림은 복음서에서 하늘왕국에 대해 이스라엘에게 제안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이스라엘은 이 제안을 일축했고, 그 제안은 이스라엘에게서 떠났으며, 완전히 새로운 독립체가 이스라엘이 거절한 것을 받는 존재가 되었다(마 21:33-43, 벧전 2:9-11)..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7.03
왜? 왜 왕국말씀으로 하는 가르침이 다른 것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성경을 이해하도록 할 것인가? 올바르고, 합당한 성경에 지배를 받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왕국말씀에 대한 이해가 왜 그렇게 활력적인 것인가? 그 답은 두 가지 방면이 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왕국말씀에 대한 이해는 그..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7.03
왕국에 대한 가르침(6) 누룩이 부패시키는 것처럼 교회의 부패 과정은 경계나 장벽이 없다. 왕국말씀과 관계하여 자유주의 기독교가 행하는 것처럼 근본적인 기독교 자체도 누룩으로 속속히 스며들어 있음을 알고 있다. 신학교에서 이 교회에 있는 성도들에게 하는 설교에 이르기까지 모든 기독교가 마태복음 1..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7.02
왕국에 대한 가르침(5) 누룩비유(마 13:33)에서 그 그림이 완성된다. 거짓 메시지는 제도가 시작할 무렵 가루 서 말 안에 놓아둔 누룩을 연결해 주입했다. “3”은 신성한 완전의 수이다. 가루는 빵을 만드는데 사용했다. 부패시키는 물질 누룩을 가루 안에 넣어 두었다. 결국 빵을 부패시키는 결과를 낳게 했다. 이..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7.01
왕국에 대한 가르침(4) 겨자씨비유(마 13:31-32)는 거짓 메시지 때문에 제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독교에서 일어나는 것을 보여준다. 겨자씨가 발아했고, 얼마간 정상적으로 자랐다. 그런데, 겨자씨의 자람에 있어서 어떤 일이 벌어졌다. 비정상적으로 자랐고, 결국 나무가 되었다. 이 비정상적이 성장, 겨자씨..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7.01
왕국에 대한 가르침(3) 알곡과 가라지의 비유(마 13:24-30, 36-43)는 종자 뿌리는 이의 비유에서 열매 맺는 이들에 대해 사탄이 공격하는 것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사탄은 열매를 맺는 이들 가운데 거짓 메시지를 가진 이들을(거짓 교사들) 둔다. 그는 메시지를 파괴하려고 하고, 전개되고 있던 것을 멈추게 하려고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7.01
왕국에 대한 가르침(2) 종자뿌리는 이의 비유에서 사탄의 공격(마 13:3-8, 18-23)은 왕국말씀을 듣는 이들에 반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는 이 메시지를 이해하는 그리스도인들을 막고, 후에 열매를 맺지 못하게 하고, 결국 멈추게 했다. 그리스도인들의 네 타입은 메시지에 대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네 그리스도..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30
왕국에 대한 가르침(1) “이에 그분께서 그들에게 이르시되, 그러므로 하늘의 왕국에 관하여 가르침을 받은 서기관마다 마치 자기 보고에서 새 것과 옛 것을 내오는 집주인과 같으니라, 하시니라.”(마 13:52). 하늘왕국을 둘러싸고 있는 메시지 즉 왕국말씀(마 13:11, 19, 24)은 신약성경의 중심 메시지다. 복음서,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