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아스를 만나기 위한 준비(1) 룻기 3장은 두 가지 중요한 일을 담고 있다. 이 장은 장차 보아스를 만나기 위해 룻 자신을 준비하는 것과 그 만남을 위한 필요한 세부사항이 나온다. 장차 보아스 타작마당에서 만나기 위해서 룻이 자신을 준비해야 하는 모든 일을 나오미가 그녀에게 말해 주었다. 이방인 룻은 유대인인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14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줍기(7) 룻기 2장에 있는 중심 내용은 구원받지 않은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선포하는 이들이 영접하는 이들에게 그리스도의 영광의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다. 밀알(보리알곡)이 쭉정이에서 분리되기까지 계속 선포한다. 추수의 주님은 그분 스스로 심판대에서 이러한 분리를 해야 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13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줍기(6) 다시 말해서 디모데가 구원받지 않은 이들을 상대하고 있었다면 그는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을 선포하고 있는 것이었다. 그는 구원받지 않은 이들이 여전히 불법과 죄에 죽어 있었기 때문에 그들에게 다른 어떤 것을 선포할 수 없었다. 그들은 영적인 안목이 없었다(고전 2:14). 그렇지만 그..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11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줍기(5) 복음전파자는 헬라어 “유앙겔리스테스euaggelistes”로 복음에 대해 선포하는 자를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협의(狹義)에 있어 성경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하지만 오늘날 기독교에서는 종종 사용되어 왔다. 복음전파자는 영원한 진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하나님의 은혜의 복음만을 선포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10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줍기(4) 일을 절대 그만두지 않는다. 이 일은 오늘날 교회시대 끝까지 계속되는 것이다. 추수와 관계있는 또 다른 하나의 일은 가장 중요성과 상징성의 어떤 것이 원문에 두드러진다. 밭에서 온종일 이삭을 주운 후 룻이 그녀가 이삭 주운 것을 떠니 보리 약 한 에바를 얻는다(룻 2:17). 한 에바는 약..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9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줍기(3) 보아스는 룻이 이삭을 줍도록 자신의 일꾼들 뒤에 한줌의 곡식을 떨어뜨려 놓도록 했다. 그래서 보아스는 룻을 위해 특별하게 한줌씩 곡식을 떨어뜨리도록 일꾼들에게 말함으로 그녀가 이삭을 줍게 했다. 그녀가 해야 했던 모든 것은 보아스가 일꾼들에게 말한 대로 곡식을 떨어뜨리면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6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줍기(2) 이 모든 것은 믿음의 경주 가운데 있는 그리스도인의 그림이다. 그들은 보아스로 상징되는 그리스도의 밭에서 이삭을 줍고 있다. 밭은 세상을 상징하여 성경에서 사용되었다(마 13:38, 창 37:15). 밭에서 이삭 줍는 것은 세상에 있는 동안 열매를 산출하는 것과 관계가 있다. 이삭을 줍는 기간..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5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줍기(1) 나오미와 룻이 베들레헴에 도착한 후 두 가지에 집중된다. 1) 그들은 보리 추수가 시작할 때 돌아왔다. 2) 나오미는 죽은 남편의 친척이 있었다. 그 친척 보아스의 밭에서 룻은 이삭을 주을 수 있었다. 룻은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을 주어야 함을 스스로 알았다(룻 1:22-2:3). 부자였던 보아스..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4
가족관계(5) 그런데 예표 속으로 돌아가서 룻과 오르바 사이의 차이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 둘은 한 가족의 식구가 되었고, 빵집인 베들레헴으로 여행하는 중이었다. 룻은 여행을 끝까지 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오르바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오늘날 한편으로는 그리스도인들이 되어야 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3
가족관계(4) 오늘날 이방인(유대인)들을 위한 구원은 신성한 능력과 하나님께서 유대인들을 통해서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성경의 구절들이 있다. “구원은 주께 속하나이다”(욘 2:9b) “이는 구원이 유대인에게서 나기 때문이라.”(요 4:22b). 두 구절 다 참된 것이어야 한다. 구원은 구..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