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곡과 가라지 비유 서언 앞서 종자를 뿌리는 이의 비유와 같은 주제로 밀과 가라지의 비유가 계속된다. 종자를 뿌리는 이의 비유의 중심초점은 열매 맺는 것이었고, 다른 것이 있었는데 한 면에서 열매 맺는 것을 막았고, 다른 면에서는 열매 맺게 되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밀과 가라지의 비유 역시 열매 맺는..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7.06
종자를 뿌린 결과 그리스도의 다가오는 왕국의 위치는 무분별한 어떤 방식으로 취해지는 것이 아니고, 합당한 방식으로 얻어야 한다(마 20:21-23). 그날에 그리스도 앞에 그리스도인 각자가 나타난다. 그 때 각 그리스도는 열매 맺은 것을 통해 정확하게 그 위치를 받을 것이다. 각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의 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7.05
좋은 땅에 뿌려진 자들 이 네 번째 씨 뿌리는 비유는 완전히 다른 유형의 문제를 대표한다. 좋은 땅에 뿌려진 자들은 말씀을 들은 이들이다. 그들은 말씀을 이해하고 말씀으로 성숙해지는 과정에서 그들을 단념케 하는 환란과 핍박을 받아들이는 것을 거절하고, 오늘날 세상 시스템의 것들보다 오히려 앞에 있..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7.04
가시나무 사이에 뿌려진 자들 가시나무 사이에 뿌려진 자들은 말씀을 듣는 자들을 대표하지만 세상에 속한 것 때문에 열매를 맺지 못한다(마 13:7, 22). 그들은 앞으로 나아가고, 분명히 잠깐 동안 견디지만 대적에 의해 열매를 맺지 못한다(눅 8:14). 그들의 실패를 가져오는 것은 이 세상에 대한 관심, 재물의 유혹 등에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7.01
돌이 많은 곳에 뿌려진 자들 돌이 많은 곳에 뿌려진 자들은 말씀을 듣고, 말씀을 이해하고, 기쁘게 말씀을 받아들이는 그리스도인들을 대표한다(마 13:5-6, 20-21). 말씀을 듣고, 배우는 것에 관해 즐거워하는 자들이다. 왕국말씀 때문에 그들의 생활이 즐겁고 새로운 기쁨을 찾는 자들이다. 하지만 이 말씀에 충분히 뿌..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6.29
종자 뿌리는 곳 (1) 종자 뿌리는 자의 비유에 대한 설명은 “누군가 왕국말씀을 들을 때”라는 말로 시작한다(마 13:19a). 그런데 이 4부분의 표현은 이미 언급된 왕국말씀이라고 하신다(마 13:20-23). 이 왕국말씀은 이스라엘에게 제안되고 있었던 바로 그 왕국에 대한 메시지다(마 3:1-12:50). 또 이 말은 이스라엘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6.24
종자 뿌리는 방식 “씨 뿌리는 자”는 사람의 아들로서 두 번째 비유에서 밝혀졌다(마 13:37, 시 8:4-6, 단 7:13-14, 마 16:13-16). 헬라 원문에는 씨 뿌리는 자 앞에 씨 뿌리는 특정한 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설명에서 씨 뿌리는 곳은 밭이요, 세상에 뿌려진다고 계시되었다(마 13:38). 이 비유에서 이 씨 뿌리는 곳..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6.23
씨뿌리는 비유(1) 그리스도께서 집에서 나가셔서 해안가에서 주신 네 비유 중 첫 번째 비유인 씨 뿌리는 자는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부분은 이스라엘과 다른 사람들에게 제안된 왕국, 하늘왕국, 열매 맺는 것과 관계가 있다. 이 비유는 미래의 시간에 적용된 것이요, 장차 그리스도 안에 있을 새 창..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5.17
적절한 예 정례(適例)로서 요나서가 기록되었다. 이 책은 영적인 공과를 도출해 내는 원천으로만 사용되었다. 구약성경 역사에서 영적인 공과를 그려내는 것은 모두 좋다. 왜냐면 구약성경 역사는 이런 형식의 용례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문제는 성경의 이러한 부분에서 영적인 공과를 그려..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5.07
이스라엘 역사, 모든 불안도에 대한 몰이해 모든 불안도에 대한 전사(全史)는 중동에 집중되었다. 또 그 불안도는 일반적으로 수 천 년 간 과거에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중동에서 세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 불안도는 요나에 의해 2,800년 전에 아주 간결한 방식으로 말해졌다. 그런데 누가 거의 3,000년 전 살고, 기록한 유대 선지..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