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 서 말(2) 문맥적으로 앞에서부터 계속되는 것이고 그리스도에 의해 누룩을 가지고서 가루 서 말에 숨겨두는 한 여자에 대한 말씀을 계속하시는 것이다. 비유의 정의에 따라 그리스도는 앞의 진리를 설명하시기 위해 앞의 진리와 나란히 배열하셔서 추가적인 진리를 공급하신다. 누룩 비유를 이해..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0.10
가루 서 말(1) “3”은 신격의 완성을 의미하는 수다. 이 수는 신격의 완성을 보여준다. 가루 서 말은 제분된 곡식을 빵을 만드는데 사용했음을 보여준다. 이런 언급은 하나님의 말씀에서 온 것이다(마 4:4, 15:1-2). 하지만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말씀이 아니다. 오히려 그 언급은 문맥적으로 특별한 의미에..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0.09
누룩비유(4) 누룩이 항상 구약성경에 사용되었던 방식에 비추어 그리스도는 그분께서 마태복음 13:33, 16:6, 11절에서 하신 것처럼 상징적인 의미로 단어를 사용하실 수 있으셨다. 예수님의 제자들은 그 단어가 무엇을 의미했었는지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을 것이다(마 16:12). 아니면 또한 이런 점에 있어..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0.07
누룩비유(3) 이 절기들로 보여준 계속되는 상징성 안에 하나님은 속죄의 날을 정하셨다. 속죄의 날은 일곱 절기 중 여섯 번째 날이었다. 누룩이 섞인 것에 참여하지 말라고 하나님의 명령이 있은 직후 이미 유월절 어린양의 피를 적용받았던 사람의 죄를 속죄하기 위해 피를 흘려야 했다. 속죄의 날은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0.07
누룩비유(2) 하지만 레위기 2:11절에서 말한 제물에 누룩 사용을 금하는 모세의 경륜 안에 두 가지 예외가 있었다. 레위기 7:13, 23:17절은 누룩이 들어간 제물을 언급한다. 수세기 후 아모스 역시 누룩이 들어간 제물을 언급했다(암 4:5). 누룩이 들어간 이 세 경우 모두에서 다른 제물들도 언급되었다. 레..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0.05
누룩비유 (1) 누룩의 비유는 네 번째 마지막 비유다. 이 마지막 비유는 그리스도께서 집밖 바닷가 아래로 내려가셔서 말씀해 주셨다. 이 누룩의 비유는 처음 세 비유로 덮여 있는 사건을 둘러싼 문제들의 결과를 계시 한다. 이 결론은 그리스도께서 집 안으로 들어오시기 전 그분께서 세 추가적인 비유..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10.04
역사가운데..... 오늘날 기독교에서 궁극적으로 일어난 것은 배교자들의 원인이었다. 그들의 공격은 그 자체가 독립체 즉 교회의 중심이 아니었고, 열매를 맺는 단계의 독립체, 즉 열매 맺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집중되었다. 그들은 교회 즉 독립체가 부패와 하락함을 소개하고, 그것들을 먹고, 양육 받도록 했다.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9.26
역사가운데..... 오늘날(1) 처음 1세기에 배교자들이 열매를 맺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침투되었을 때 기독교가 로마에서는 불법종교로 간주되었다. 얼마 동안 지속되다가 그리스도인들은 반역죄를 지은 것으로 간주되었다. 로마는 황제를 숭배했다. 이 실행 가운데 종교와 국가는 하나가 되었다. 반면 그리스도인들..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9.25
한 나무의 상징성(2) 세상에서 그리스도인들이 발휘하는 힘에 대한 어떤 성경적인 생각은 사탄이 잡고 있던 홀(笏)을 내려놓은 후 그리스도께서 그 홀(笏)을 붙잡은 미래의 날을 위해 따로 떼어 둔 것이었다. 이 본질의 힘은 장차 그리스도의 왕국에서 오로지 발휘된다. 요약하자면 겨자종자 비유에서 볼 수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9.21
한 나무의 상징성(1) 성경에서 나무의 상징성을 기록하고 있는 데 완전하게 알고 이해하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한 나무는 성경에서 민족적인 힘, 능력을 상징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사사기 9:8-15절에 세상에서 가장 오래 알려진 비유가 있다. 나무들은 나라를 상징하는 나무들은 자신들을 통치할 왕을 선택..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6.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