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rethren/연(輦)모임 메시지

하나님의 주권 아래에서 살아가기

Hernhut 2023. 8. 28. 20:30

 

 

로마서 12:1921

 

로마서 12:20에서 그의 머리에 숯불을 쌓으리라라는 구절의 의미를 설명하기는 어렵다. 학자와 평론가들은 그것이 은유적으로 받아들여지도록 고안된 비유적 표현일 가능성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것을 설명하려고 한다. 또 다른 가능성은 아랍인들과 히브리인들 사이에서 불타는 석탄의 모습은 신성한 형벌의 상징으로 일반적이다. 아라비아 사람들은 매우 극심한 정신적 고통을 유발하는 것들을 심장의 숯을 태우고 간에서 불을 피우는 것이라고 부른다. 이 고통과 불은 적으로부터 이익을 얻었을 때 최악의 사람에게도 동반되는 수치심의 빛과 화상으로 묘사될 수 있다. 이 느낌을 선행의 표시로 인해 사람에게 가져다주는 그영의 슬픔이다.

 

로마서 12:21의 시작 부분에서 에 해당하는 헬라어는 카코스kakos인데, 이는 성격상 비천하거나 악한 것을 의미하며, 쓸모없는 것, 무능한 것, 나쁜 것을 의미한다. 카코스kakos는 사람, 품질, 감정 또는 행위와 관계없이 해롭거나 파괴적인 것, 또는 도덕적으로 또는 윤리적으로 악한 것을 나타낼 수 있다.

 

계시와 적용

 

로마서 12장의 서두에서 바울은 변화와 교회 생활에 대한 주제를 소개했다. 로마서 12:9-21에서 그는 덕을 드러내는 교회 생활의 삶에 관해 이야기하는 데 시간을 할애한다. 이 삶은 교회, 하나님, 우리 자신, 성도들, 그리고 하나님의 주권을 향하고 있다. 교회에 관해서는 이 삶이 사랑으로 충만해야 한다(고린도전서 12:9, 10). 하나님과 관련하여, 이 삶은 열렬한 심령으로 주님을 섬기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린도전서 12:11). 우리 자신에 관해서는 이 삶이 희망으로 가득 차 있다(고린도전서 12:12).

 

성도들과 관련하여, 이 삶은 우리가 성도들 가운데 사는 것과 같은 그리스도의 마음을 갖는 것을 포함한다(고린도전서 12:13-18).

 

이 장의 끝 부분(로마서 12:19-21)에서 바울은 사랑하는 자들아 결코 원수를 갚지 말라고 말하면서 하나님의 주권에 관한 우리의 삶에 대해 언급한다. 교회 생활에서 모든 것이 항상 공평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는 주님께서 합당하게 갚으실 것이고 복수는 주님의 것이라고 믿기 때문에 정당한 보상을 구해서는 안 된다. 이것은 우리가 처한 모든 환경이 주님으로부터 온 것임을 인식하는 것과 전적으로 관련이 있다.

 

원수를 사랑함

 

로마서 12:20은 어려운 구절이다. 그것은 우리 적의 머리에 불타는 석탄을 쌓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것은 복수를 위해 우리가 취한 행동이 아니다. 우리가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세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로마서 12:19에서 바울은 복수는 주님의 것이며, 이 숯불은 그것과 모순될 수 없다고 말한다. 둘째, 로마서 12:20에서 원수를 위해 하라고 하는 모든 것은 긍정적이다. 마지막으로, 로마서 12:21에서 바로 이어지는 다음 구절은 선으로 악을 이기라. 그러므로, 불타는 석탄 더미는 긍정적임에 틀림없다.

 

이 문구가 긍정적이라면 무엇을 의미할 수 있는가? 바울 시대에 중동에는 숯은 심장에, 불은 간에라는 말이 있었다. 그 당시의 문화에 따르면, 사람의 마음은 연민과 관련이 있다. 이 석탄은 적을 태워 죽이기 위한 것이 아니다. 우리가 적의 머리에 얹은 석탄은 그를 향한 우리 마음의 연민이다. 원수가 배고플 때 먹이를 주고 목이 마를 때 마실 것을 줌으로써, 우리는 참으로 그에 대한 사랑을 나타내는 것이다.

 

선으로 악을 이김

 

마지막으로 로마서 12:21악에게 지지 말고 선으로 악을 이기라고 말한다. 여기서 은 헬라어 카코스kakos에서 유래한 것으로, 본질적으로 쓸모없고 사악하고 부패한 것을 나타낸다. 그것은 악행을 의미할 수 있다. ‘선한’(아가토스agathos)은 마가복음 10:18에서 그리스도와 하나님을 유일무이한 선하신 분으로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 그러므로, ‘선으로 악을 이기라는 말은 그리스도를 살아내라는 뜻이다. 그리스도의 선한 인격으로 살아냄으로써 우리는 쓸모없고 악하고 부패한 것들을 극복한다. 궁극적으로, 이런 종류의 삶은 건강한 교회 생활에 필요한 모든 덕목을 낳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