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잔치가 비유에서 예언됨(마 22:2-14). 이 비유는 왕가의 사무, 그분의 아들의 혼인을 위한 여러 가지 잔치를 다 준비하는 왕으로 시작한다(마 22:2). 이런 준비를 한 다음 왕은 초청을 받은 이들을 부르시러 그분의 종들을 보냈지만 그들은 그 잔치에 오지 않았다(마 22:3). 또 다른 부르는 자들을 모냈지만 초대받은 사람들은 여..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15
혼인잔치 성경이 요한계시록 19:7-9절에 있는 것처럼 그리스도와 그분의 신부의 혼인을 다룰 때 그 인용은 항상 혼인 그 자체가 아니라 혼인을 둘러싸고 있는 잔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본 것처럼 혼인 그 자체는 없을 것이다. 보통 우리가 오늘날 문화에서 혼인식을 연상하는 것 이 아닐 것이다. 예..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15
구속이 완료됨 몰수된 상속 구속이 요한계시록 6-19장에서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요한계시록 5장의 봉인된 일곱 두루마리는 몰수된 상속(땅)에 대한 구속적 기한을 포함한다. 그리고 요한계시록 6-19장은 떼어지는 인과 수행되는 이 구속적 기한을 보여준다. 이 구속적 기한은 수행되었고, 신부는 그..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14
신부가 아내가 되다. 그리스도와 그분의 신부의 장차 혼인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현대 세상에서 행해지고 있는 방법을 따라 행해지는 것이 아닌 룻기 4장에 주어진 예표에 따라 정확하게 행해질 것이다. 몰수된 상속을 구속하는 과정을 통해 보아스가 룻을 얻은 것처럼 창세기 3장에서 첫 아담에 의해 몰수된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14
보아스의 일(사역)-2- 보아스와 룻의 증손자가 다윗 왕이었다. 이스라엘을 통치한 다윗은 다윗의 큰 아들로서 땅 위를 통치하러 오실 그리스도를 예표한다(삼하 7:12-14, 마 21:9, 15, 눅 1:27, 31-33). 거절 이후 사울 대신 이스라엘을 통치한 다윗처럼 그리스도는 거절 이후 사탄을 대신해 땅을 통치하실 것이다. 사울..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13
보아스의 일(사역)-1- 더 가까운 친척이 상속을 구속하는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거나 몰수하는 것이 이스라엘의 법이었다. 이 법의 중심적 특징은 구속하기 위해 그 다음 친척에게 상속을 건네주고, 자신의 신을 벗어 줌으로 자신의 권리를 포기하는 더 가까운 친척과 관계가 있다(신 25:7-9). 이 법에 따라 더 가..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12
더 가까운 친척 룻기에서 일어난 그 사건 당시 유대인 가정관리에 법률적인 다른 문제는 그 땅에 흩어진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들어가는 길, 여러 도시의 문에서 다뤄졌다. 각 도시의 장로들은 그 도시의 문에 모여 있으면서 법률적인 문제를 따지고, 풀려고 하는 이들이 그 도시에 들어오려는 것을 ..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11
예표와 실제(2) 갈보리에서의 그리스도의 마지막 사역 자체가 룻기 4장에는 다뤄지지 않았다. 이 사역은 단순하게 당연시 하거나 추론된 것이다. 갈보리에서의 그리스도 마지막 사역을 둘러싸고 있는 이 문제는 룻과 오르바가 죽음을 통해 가족의 일원이 되는 것을 알았던 1장에서 다뤄졌다. 그들 남편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9
예표와 실제(1) 룻기 4장에서는 보아스의 구속적 행위를 볼 수 있다. 이 보아스의 구속적 행위는 문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구속행위는 룻이 가족의 일원이 되고(룻 1), 보아스의 밭에서 이삭을 줍고, 추수 때 내내 이삭을 주워 녹초가 되고(룻 2), 한 밤중에 보아스를 만나기 위해 그녀 자신을 준비하..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9
진주비유(6) 요한계시록에 따라 이 두 비유는 룻기 4장에 등장한 예표, 구약성경에 있는 예표의 어떤 것을 다룬다. 룻기 4장에서 보아스는 몰수된 상속을 구속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몰수된 상속을 구속하는 것은 룻이 보아스의 구속적 행위로 그의 아내가 되는 것이다. 이 장은 사건이 완료되는 이야기.. 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2017.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