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 음료/복음칼럼

벌거벗음, 부끄러움

Hernhut 2014. 2. 7. 20:27

 

성경은 모세가 산에서 돌아왔을 때 이스라엘의 타락한 상태와 관련된 세 가지 아주 중요한 점을 계시했습니다(32:25).

 

1) 사람들은 벌거벗었음.

2) 사람들은 부끄러움을 당함.

3) 아론과 훌은 맡았던 책임을 짐

 

이 말은 그리스도께서 하늘에서 돌아오실 때 기독교 안에 존재할 유사한 타락의 모습입니다.

 

1) 사람들은 벌거벗을 것임.

2) 사람들은 수치를 당할 것임.

3) 책임을 맡았던 무리의 목양자들이 책임을 지게 됨

 

출애굽기 32:25절에서 벌거벗음으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느슨해지는 것과 관계가 있습니다. 이것은 생각에서 벗어나는 것, 옷을 벗는 것, 머리를 깎는 것을 의미합니다(10:6, 13:45, 21:10, 5:18, 대하 28:19). 대부분의 번역가들과 해석가들은 사람들에게 주어진 모든 규제에서 벗어남을 말하는 느슨한 생각으로 이해합니다. 다시 말해 무법제멋대로 사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지만 나중에는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 그리스도인들의 벌거벗음으로 묘사되는 말입니다.

 

벌거벗음과 부끄러움은 사람창조와 타락을 둘러싼 창세기 2~3장에서 나오는 주제입니다. 창조에 이어서 타락하지 않은 아담과 이브는 둘 다 벌거벗었고, 또 부끄럽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죄가 들어간 후 타락한 상태에서 그들은 자신들이 벌거벗었음을 알았고 그로 인해 두려워했습니다. 그들은 무화과 잎으로 자신들의 벌거벗음을 가리려고 했고, 동산의 나무가운데로 하나님의 임재로부터 자신들을 숨겼습니다(2:25, 3:6~10).

 

아담과 이브의 벌거벗음을 덮기에 오전하게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무화과 잎으로 가리는 것을 거절하시는 하나님은 동물의 가죽으로 만드신 것으로 입도록 하셨습니다(3:21). 이 공급은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입니다. 그분은 가리는 것을 가져오시는 사역을 수행하셨습니다.

 

대신하는 희생이 포함되었습니다. 피가 흘렀습니다. 이것은 하나님께서 타락한 사람의 구속에 영향을 주고, 타락한 사람의 벌거벗음을 덮기 위해 맨 처음 사용하신 방법입니다. 그리고 이 방법은 창세기에서 하나님에 의해 시작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성경에서 절대 바뀔 수 없는 패턴을 하나님께서 정하신 것입니다.

 

창세기 3:15절에 있는 약속된 구속은 창세기 3:21절에 세워진 패턴에 따라 사람의 구속에 영향을 주어야 합니다. 이 패턴은 하나님만이 구속 사역을 수행하실 수 있기 때문에 구속자는 하나님이 되셔야 하고, 구속자는 대신하는 희생을 제공해 주셔야 하고, 피가 흘러야 합니다.

 

창세기 3:21절에서 아담과 이브가 동물 가죽으로 옷 입혀진 것처럼 그리스도께서 대신하시는 희생이 되셨고, 피를 흘리셨기 때문에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의로우심으로 옷 입혀졌습니다. 이런 점에서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과의 의로운 교제를 가집니다. 이 교제가 완전하신 그리스도의 의로우심에 바탕을 두고, 그분이 사역을 마치셨기 때문입니다. 무화과 잎으로 예표 된 사람이 하는 것은 이 의로운 교제를 세우는 것이나 추가하는 것에 아무런 관계가 있을 수 없습니다.

 

사람을 구속하시는 의로움은 완전히 하나님의 것입니다. 사람은 구원 전후 모두 사역 안으로 아무것도 가져올 수 없습니다. 사람은 하나님 자신, 곧 사람이신 아들 안에서 끝내신 의로움을 가져 올 수 없습니다. 따라서 그리스도인들은 영원히, 완전히, 그리고 풍성하게 그리스도의 의로우심으로 옷 입혀져야 합니다. 그리하여 이런 점에서 그리스도인들은 절대 자신들이 벌거벗었다는 것을 알 수 없습니다.

 

이제까지는 그 주제가 그리스도의 의로우심과 영원한 구원에 관해 벌거벗음이었습니다. 하지만 성경에는 또 다른 벌거벗음이 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이집트에서 유월절 어린양의 피를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그들은 광야(무법상태)에서 벌거벗은 것을 알았습니다.

 

요한계시록 3:14~22절에 있는 구원받은 자요, 그리스도의 의로움으로 옷 입혀진 자들, 절대 벌거벗은 자들처럼 보이지 않은 라오디게아 교회 사람들은 벌거벗은 다른 것들이 있음을 말합니다(3:17). 로마서 8:35절에서 벌거벗음6가지를 말하고 있습니다. 6가지는 그리스도인들이 체험하게 될 환난이나 곤경이나 핍박이나 기근이나 벌거벗음이나 위험이나 칼입니다.

 

이 구절의 주된 요점은 그리스도인들이 체험할 수 없는 어떤 것과 그리스도의 사랑에서끊을 수 없는 것과 관계가 있습니다. 이 구절에 기록된 것들이 그리스도의 사랑에서 끊을 수 없는 것들이기에 여기서 사용된 벌거벗음은 그리스도의 의로움으로 옷 입혀지는 그리스도인들과 아무런 관계가 없습니다. 오히려 요한계시록 3:17절에서 벌거벗음으로 나타나는 그리스도인들은 로마서 8:35절에 있는 것과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16:15).SJHC

 

 

 

'빵과 음료 > 복음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렇지만.........②  (0) 2014.03.18
그렇지만.........①  (0) 2014.03.18
“그러나 사랑하는 자들아, …”  (0) 2014.02.05
안식, 안식일  (0) 2014.02.04
하루, 천년  (0) 201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