씻음은 깨끗해지는 것과 관계가 있다. 룻기 3:3절에 있는 전체적인 생각은 보아스를 만나러 가기 전 룻이 자신을 깨끗하게 될 필요성과 관계가 있다. 실제에서도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의 재림의 때에 자신들을 깨끗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룻기에 나타난 것처럼 예표적인 의미에서의 깨끗해지는 것은 성경의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약 제사장들은 제사장 직분을 수행하기 전 완전히 목욕을 했다. 이것은 한 번의 사건이요, 반복적으로 씻지 않았다(출 29:4, 40:12-15). 그런 다음에는 그들의 사역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더럽혀져 제사장들의 손과 발을 반복적으로 씻었다(출 30:19-21).
후자의 씻음은 그리스도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실 때 언급하셨다(요 13:8-10). 몸의 완전한 씻음은 이미 이뤄졌다. 그러므로 이제 몸의 일부분의 씻음만이 필요하다. 룻기 3:3절에 언급된 씻음은 그리스도께서 제자들의 발을 씻어 주셨던 그 때의 씻음으로 묘사되었다. 룻은 가족의 일원이 되기 위해서가 아니고, 가족의 일원으로서 자신을 씻었다.
'빵과 음료 > 새벽이슬처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를 만날 그녀의 준비-자신을 씻음(3) (0) | 2017.01.21 |
---|---|
그를 만날 그녀의 준비- 자신을 씻음(2) (0) | 2017.01.19 |
그를 만날 그녀의 준비 서론 (0) | 2017.01.17 |
보아스를 만나기 위한 준비(2) (0) | 2017.01.16 |
보아스를 만나기 위한 준비(1) (0) | 2017.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