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 음료/새벽이슬처럼

하나 이상의 교회 행정적 은사

Hernhut 2016. 1. 28. 18:06


바울이 사용한 교회행정은 그리스어 쿠베르네세이스kuberneseis. “쿠베르네세이스kuberneseis는 일반적인 단어가 아니다. 이 단어는 항해를 의미하는 항해 용어를 은유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쿠베르네세이스kuberneseis는 배를 암초나 물이 얕은 곳을 피해 정박할 수 있는 곳까지 이끌어 들이는 수로 안내자처럼 교회의 지도적 일로 가장이 경영하는 일의 용어다. 이 업무를 수행한 세속적인 사람들은 사도행전 27:11절에서 파일럿”, 요한계시록 18:17절에서 선장으로 번역되었다. 이 사람은 그 과정을 조정함으로 기업, , 배를 이끌었다. 그러므로 근본적인 생각은 무대 뒤에서 움직이는 사람이기 보다 사람들 앞에서 나서서 책임을 맡은 대로 움직이는 지도자이다. 번역본마다 이 구절에서 교회행정을 바꾸고 있다. 왜 번역본마다 교회행정을 바꿔 번역하는가? 우리는 여기서 문화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국인들은 미국인들이 오바마를 말하는 것과 다르게 행정부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그들은 나라의 정책을 조정하는 지도자라는 용어에서 행정을 본다. 사전은 다스림에 대한 이러한 생각을 돕는다. 문화적으로 단어를 줄이거나 단어에 대해 더 낮게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교회행정, 다스림이란 여전히 좋은 단어다. 먼저 교회행정과 사역이 영어에서 같은 어근이라는 것에 주목하라. 위의 정의는 협동이라는 단어에 교회행정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어디에서 여러분이 지도자로서가 아니라 뒤에서 순조롭게 일을 돕는 종으로서 있는가? 지금까지 우리는 다른 사람을 도울 수 있는 성도, 교회행정에 앞장서는 은사를 무시했었다. 이 의미에 맞는 고대 그리스어 어근은 안티렘프세시스antilempseis사람들이 어떤 것, 인지력, 그리고 불안감을 갖게 하는 보수(報酬)”를 뜻한다. 하지만 성경적인 그리스어는 이타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다. 그래서 70인역 구약성경에서 이 단어가 사용되었다(22:19). 그러므로 우리는 대개 집사가 언급되어 있는 신약성경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단어는 서로를 돕는 것, 다른 성도들에게 격려가 되고, 보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진정한 의미다. 여러분은 당번을 생각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단어가 누가복음 1:54절에 나오는데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도우시는 분이시라고 설명되었다. 사도행전 20:35절에서는 약한 성도들을 돕는 방법을 보여주는데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뒤에 나오는 교회행정은 교회 안에서 사무를 보고, 커피를 제공하고, 모임상황을 기록하는 성도들과 더 유사할 수 있다. 이 은사들은 모든 교회활동의 협력에서 한 방면의 겸손한 조직에 이르기까지 교회행정적인 스펙트럼으로서 두 부분으로 대표된다. 그것은 교회행정의 모든 부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