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시사·일상/성경사전

십일조

Hernhut 2014. 8. 21. 13:00

 

요즘 십일조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참으로 많아졌고, 개신교에서 십일조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어 가는 것을 접하게 되어 성경에서 십일조를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를 말하려고 합니다. 저희 교회에서는 헌금에 대한 메시지를 아주 가끔 하기 때문에 십일조라는 단어를 쓸 일이 별로 없습니다. 이 말을 하게 된 것은 개신교의 어떤 교파에서 십일조를 하지 않으면 교회에 나가는 것에 장애가 되기 때문에 교회에 참여하기 거북하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이렇게 교통하게 되었습니다.

 

십일조라는 단어는 10분의 1을 의미합니다. 히브리어로는 하사르hasar, 헬라어는 데카타스dekatas입니다. “십일조는 비록 10분의 1이라는 단어일지라도 고대영어로 모든 시대의 현대 언어로는 좀처럼 사용되지 않은 용어입니다. “십일조는 유대인들에게 모세 율법 아래에서 명령을 받은 것으로 가장 잘 알려졌습니다. 또한 그것은 각 사람들의 전체적인 수입의 근거가 되었습니다(14:2). 저는 종종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이 주님께 십일조를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받습니다.

 

목사들과 교회들은 적어도 3가지 방법으로 이 질문에 대답을 합니다.

 

십일조는 명령이다. 그리스도인들은 율법적으로 십일조를 하는 의무를 진다.

십일조는 이스라엘을 위한 시대에 뒤진 원칙으로 여긴다. 교회가 시작됨으로 폐기되었다.

십일조는 주님께서 첫 번째 몫을 누릴만한 자격이 있으시고, 그 밖의 주님께 의지함을 보여주기 위해서 자발적인 개인적 선택으로 이루어졌다.

 

우리가 그 역사적인 시작으로 십일조를 볼 때 우리는 그것의 중요성과 우리의 드림의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1. 족장시대

족장시대는 모세율법 이전의 시대였습니다.

 

A. 아브라함의 "십일조"(14:17~20).

 

a. 간결한 설명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대표하는 제사장 멜기세덱에게 자발적으로 조카 롯에게서 다시 받은 물건들의 십일조를 드렸습니다. 아브라함은 그의 십일조에 대해 하나님의 인정으로 인해 멜기세덱에게 축복을 받았습니다.

 

 

b. 기본적인 원칙

가장 좋은 십일조는 주님께서 승리와 경제적 축복을 주셨다는 사실을 인식함으로 드려졌습니다.

 

 

B. 야곱의 "십일조" (28:20~22).

 

a. 간결한 설명

야곱은 하나님께서 그가 갈 길을 인도하시고, 음식과 옷을 주셔야한다고 하는 조건적인 거래방식으로 맹세를 했습니다. 그런 후 그는 하나님께 감사하는 마음을 보이기 위해 십일조를 했을 것입니다.

 

 

b. 기본적인 원칙

그의 십일조는 하나님께서 개인적인 필요를 공급하시고 계셨다는 사실을 인식하는 것으로 드려졌습니다.

 

 

2. 모세 율법 아래에서의 십일조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이스라엘에게 약속을 하셨습니다. 그 약속이 구약의 율법이 되었습니다.

 

 

A. 장막시대 (2:1~16, 18:1~32, 12:1~32, 14:1~29, 26:1~19).

이스라엘은 10%를 드리는 것만을 요구받지 않았습니다. 그 땐 연 약 23.3%를 드리도록 요구받았습니다.

 

 

a. 간결한 설명

십일조는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명령되었습니다(27:30~34, 12:6~7). 이스라엘은 세 가지의 십일조가 있었습니다. 첫째는 주님의 풀타임 종, 레위인들에게 주었습니다(18:21, 14:27, 18:1~32). 레위 사람들은 가나안에 있는 상속으로 어떤 땅도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하나님께 헌신하는 그들의 보상으로 사람들이 십일조로 후원을 했습니다(18:21~32). 둘째는 거룩한 절기를 위해 드렸습니다(14:22~26). 셋째는 여분의 십일조는 그들의 지역에 있는 봉사자들과 모임의 궁핍한 사람들을 위해 3년마다 드렸습니다(14:28~29, 26:12).

 

b. 기본적인 원칙

십일조는 주님의 풀타임 종들을 후원했습니다. 십일조는 주님을 경배하는 부분이었습니다. 십일조는 주님의 사람들의 필요를 채우는데 사용되었습니다.

 

 

B. 성전시대의 십일조(역대하 31:1~26, 10:1~39, 12:1~47, 13:1~31, 3:1~18).

이때에 이스라엘은 10%보다 더 책임을 졌습니다. 이 당시의 십일조는 연 30%였습니다.

 

 

a. 간결한 설명

()성전 건설 후와 몇 년 후 성전 재건 아래에 있는 이스라엘의 모든 사람들은 십일조에 대해 명령받았습니다. 그들의 첫 열매와 소출 모두의 십일조를 바치도록 명령 받았습니다(대하 31:5~6, 11~12, 3:8~10).

 

이 십일조는 세 가지 목적이 있었습니다. 십일조는 주님께 이스라엘의 헌신을 대표했습니다(대하 31:6). 십일조는 레위사람들, 노래하는 사람들, 문지기들, 그리고 제사장들 등 주님의 사역자들을 돌보는데 사용되었습니다(10:37~39, 12:44, 13:5). 십일조는 형제들의 필요에 따라 분배되었습니다(13:12~13).

 

 

b. 기본적인 원칙

십일조는 또 주의 풀타임 종들을 후원했습니다. 십일조는 주님께 사람들의 헌신을 대표했습니다. 십일조는 주님의 사람들의 필요를 채웠습니다.

 

 

3. 교회시대에서의 십일조

교회에 십일조와 관련된 직접적인 명령도 없고, 교회의 중요한 어떤 사람에게 주라고 하는 가르침도 기록되지 않았습니다. 십일조는 드리는 자가 구약성경 모세의 율법 아래에 있지 않고, 십일조가 제한되지 않는 한 드림의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습니다.

 

 

A. 아브라함의 십일조에 따라 (7:1~8:2)

 

a. 간결한 설명

아브라함은 레위 대제사장이었던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드렸습니다. 아브라함은 멜기세덱에게 십일조를 드림으로 칭찬을 받았습니다. 이제 그리스도의 제사장직분은 레위와 멜기세덱의 대제사장이십니다(7:15).

 

 

b. 기본적인 원칙

십일조가 멜기세덱에게 드려지고, 축복을 받은 이후 우리가 그리스도께 십일조를 드린다면 멜기세덱의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에 따라 훨씬 더 큰 축복이 될 것입니다.

 

 

B. 제사장에게 속한 봉사는 채워졌고, 바뀌었다(7:1~8:2).

 

a. 간결한 설명

모세율법은 이스라엘에게 주어졌습니다. 레위 제사장직분이 대체되었기 때문에 모세율법은 강요받지 않았습니다(7:12, 18~19, 28, 8:7~13, 9:15, 10:20). 그러므로 교회에서의 십일조에 대한 명령은 중지되었습니다.

 

 

b. 기본적인 원칙

레위 사람들의 제사장에 속한 봉사는 죽음으로 끝났지만 그리스도에 대한 제사장 봉사는 그리스도께서 죽은 자들 가운데서 일어나셨기 때문에 영원히 계속됩니다. 그리스도는 제사장들에 대한 새로운 명령에 따른 교회의 대제사장이십니다(7:26~28, 4:15). 그리스도인들은 이제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의 영역 안에 있습니다(벧전 2:5). 아브라함의 십일조 정신에 따라 자발적으로 십일조를 드리는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제사장 직분이 레위 사람들의 제사장 직분에 우위에 있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모세율법 아래에 있는 제사장 직분 안에 있는 사람들은 분배해서 쓰는 것을 십일조에서 지불하도록 가르침을 받았습니다(18:26). 그리스도인들의 제사장직분은 어떤 차이가 있어야 합니까?

 

 

C. 교회의 필요는 이스라엘의 필요와 아주 유사하다.

 

a. 간결한 설명

레위 제사장 직분 아래에는 십일조를 통해 채운 세 가지의 기본적인 필요가 있었습니다. 십일조는 풀타임 사역자들을 위해 경제적으로 공급했습니다. 십일조를 드림은 주님을 예배하는 부분이었습니다. 십일조는 주님의 사람들의 필요를 채웠습니다.

 

 

b. 기본적인 원칙

교회는 이스라엘의 회중처럼 아주 흡사한 필요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필요들은 체계적인 방식에 따라 하나님의 사람들의 드림으로 채울 수 있습니다. 적어도 자발적인 십일조만이 이 필요를 채웁니다.

 

 

결국 오늘날 교회는 십일조를 하라는 명령을 받지 않았습니다. 십일조는 할 수도 있고,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사역자들이 강요할 수 없습니다. 강요한다면 신약성경에 또 하나의 교리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성경을 추가하거나 빼면 저주를 받는다는 성경말씀을 위배하는 것이 됩니다. 성령을 체험한 사람은 십일조를 할 것입니다. 하지만 오늘날 교회에서는 십일조를 강요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主護村成壬鉉